ETF 세금 완전정리 | 분배금, 매도 차익, 해외·국내 ETF 차이까지 한눈에!
ETF에 투자할 때 가장 먼저 고민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세금'입니다. 분배금이나 매도 차익에 따라 적용되는 세금 방식이 다르고, 국내 ETF와 해외 ETF의 세금 구조도 크게 다릅니다. 또한, ETF를 ISA 계좌에 담을 경우 절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TF 세금 체계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ETF 세금 구조 정리
구분분배금 과세매도차익 과세세율
국내 ETF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과세 없음 (채권형 제외) | 일괄 과세 |
해외 ETF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양도소득세 22% (지방세 포함) | 분리 과세 |
▶ 국내 ETF는 분배금에 대해서만 15.4%의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되며, 매도차익에는 별도의 과세가 없습니다. (단, 채권형 등 일부 제외)
▶ 해외 ETF는 분배금도 15.4% 과세되며, 매도 시 발생한 차익에 대해서는 별도로 양도소득세 22%가 부과됩니다.
2. 어떤 ETF가 절세에 유리할까?
과세 방식 | 절세 전략 핵심 포인트 |
국내 ETF | 분배금 위주 수익 → 세금 간단 |
해외 ETF | 매도차익 위주 수익 → 매도 타이밍 조절 필요 |
ETF 선택은 단순히 수익률만 보는 것이 아니라, 세금 구조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국내 ETF는 단순하고 예측 가능한 세금 구조
- 해외 ETF는 매도 시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므로 전략적 매도 필요
3. ISA 계좌로 ETF에 투자하는 이유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ETF 투자 시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핵심 수단입니다.
- 매도차익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처리됨 (조건 충족 시)
- 연간 납입 한도 내에서 절세 효과 큼
- 초보자에게도 적합한 절세형 계좌
특히 해외 ETF의 매도차익에 대한 22% 과세가 부담된다면, ISA를 통해 과세 이연 또는 절세가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ETF 투자는 단순히 수익률만 보고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같은 수익이라도 세후 수익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분배금 중심의 ETF인지, 매도차익 중심의 ETF인지에 따라 과세 구조가 달라지고, ISA 계좌를 활용하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실질 수익률은 크게 달라집니다.
ETF 세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나에게 맞는 전략을 세운다면 투자의 안정성과 수익률을 동시에 챙길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