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
프로그램 패키지의 설치 및 제거의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것은 물론 GNU의 GPL에 의해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 이다. 또한 레드햇 배포판 CD는 RPM 형태로 제공되어 지며, 각종 패키지의
확장자가 '.rpm'으로 되어 있다.
사용법
RPM 패키지의 구조
패키지명 : 프로그램의 이름
아키텍처 : 어떠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냄.
구분자 사용가능
플랫폼
.i386 / i686 인텔 CPU
.alpha Alpha CPU
.sparc
Sun Sparc
.ppc Power PC
RPM의 용도
① 패키지 자동 설치 및 제거
② 편리한 업그레이드의 지원
③
패키지 검증
④ 패키지 정보 검색
RPM의
옵션
① 일반적 옵션
-w : 자세한 디버깅 정보를
출력
-keep -temps : 임시 파일을 삭제하지 않는다.
-quiet : 출력 내용을 최대한 줄이며, 에러 메시지만
출력
-help : 사용 설명서를 출력
-version : 사용중인 RPM의 버전을 표시
-rcfile
<파일> : /etc/rpmrc 또는 $HOME/.rpmrc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을 사용하도록
한다.
-root <dir> : 모든 동작에 대하여 최상위 디렉토리를 주어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작업한다.
② 설치 옵션
-h, -hash : 패키지를 풀 때 해시마크(#)를
표시한다.
-oldpackage : 새로운 패키지를 지우고 예전 패키지로 교체할 때 사용한다.
-percent : 패키지
파일을 풀 때 퍼센트 표시를 한다.
-replacepkgs : 패키지가 이미 설치되어 있어도 재설치를 수행한다.
-root
<dir> : <dir>을 루트로 하는 시스템에 설치를 수행한다.
-noscripts :
preinstall, postinstall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는다.
-excludedocs : 문서 파일을 설치하지
않는다.
-includedocs : 문서파일을 포함하여 설치한다.
-nodeps :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U, -upgrade : 이미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삭제하고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③ 질문 옵션
-a : 모든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i : 패키지의 이름, 버전, 설명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R
: 현재 패키지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provides : 패키지가 제공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l
: 패키지 안의 파일을 보여준다.
-d : 문서 파일만 보여준다.
-c : 설정 파일만
보여준다.
④ 제거 옵션
RPM 설치 활용
-i : rpm 파일을 설치하고자 할때,
-v(Verbose) : 자세한 설치 과정을 보여줌
-h :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 기호로 나타내 준다.
RPM패키지를 설치하면서 "already installed"라는 메시지를 보여주며 설치가 안되는 경우 사용한다.
이 옵션은 이미
설치한 패키지의 설정이 잘못되어 동일한 패키지로 깨끗하게 새로 설치할 경우나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삭제 과정 없이 새로 설치하려고 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RPM 패키지를 설치하면서 가장 많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패키지 의존성 에러"이다.
"패키지 의존성 에러"란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삭제할 때에 발생하는 에러로서 어떠한 패키지를 설치 및 삭제할려고 할 때에 해당 패키지가 정상적으로 설치 또는 삭제되기 위해서는 다른 패키지를
먼저 설치, 삭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패키지의 설치 또는 삭제시에 다른 패키지의 선행된 설치 또는 삭제가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RPM 업그레이드
활용
RPM 패키지 삭제
활용
vi 명령어 정리 (1) | 2010.06.15 |
---|---|
[GEF] 초심자를 위한 자료 목록 (0) | 2010.06.15 |
B-Tree (1) | 2010.06.15 |
Android 2.0 Official Video (0) | 2010.06.15 |
HTC G1 Android videoreview da telefonino.net (0) | 201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