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Tadpole DB Hub 을 활용하여 devpack Shared DB 사용하기

moneygom 2016. 9. 13. 14:57
반응형

Tadpole DB Hub는 올챙이로 불리우며 조현종님이 밤낮으로 열심히 개발한 오픈소스겸 상용소프트웨어다.

크게 2가지 버젼이라고 봐야 하며, 최근 Kakao bank와 계약하여 개인적으로 좋은 보답이 있길 바란다.(언제나 응원합니다!^^)


개인적인 친분도 있고 하여 홍보는 하지만, 올챙이티셔츠를 달라고 할 만큼의 기여는 하지 않았기에 다음 기회를 기다리면서 devpack에 올챙이를 활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포스팅해본다.(TODO : 올챙이 소개글도 써야 함..먼저 작성해야 했는데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싶지 않아 조금 미뤄본다.)


아무튼..배포 버젼도 2가지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간단히 tadpole.war을 다운로드 받고 manifest.yml 만 작성하여 자신의 Shared DB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키 : https://tadpoledbhub.atlassian.net/wiki/display/TADPOLE/Tadpole+DB+Hub+DOC

위키-개발환경 설치에 관하여 : https://tadpoledbhub.atlassian.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621473

GitHub : https://github.com/hangum/TadpoleForDBTools/

..


GitHub에 README.md 파일에 보면 war 다운로드 링크가 있다. 간단히 최신버젼의 링크를 추가하지만 GitHub에 접속하여 최신 빌드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7.1 버젼 : https://sourceforge.net/projects/tadpoledbhub/files/1.7.x/1.7.1/ )


Tadpole DB를 사용하려고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 입니다.

* devpack db를 외부에서 바로 접속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App과 동일 IP로 또 다른 App을 사용해야 한다.

* 기본 제공되는 쿼리브라우저가 여러가지 면에서 불편하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phpmyadmin과 같은 전용 어드민 도구 사용을 권장한다.




위와 같이 manifest.yml 파일을 생성한다.

---

applications:

- name: tadpole               # 배포할 app의 이름

  memory: 1024M             # 사용할 메모리사이즈

  path: tadpole.war           # 배포파일 경로로 다운로드 받은 tadpole.war의 위치를 지정한다.

  buildpack: https://github.com/cloudfoundry/java-buildpack       # java-buildpack

  host: tadpole-hs             # 배포 url로 예시에서는 tadpole-hs.devpack.co.kr 로 할당한다.

  services:

  - hs-db                            # 연결할 DB 서비스. 기본 버젼에서는 적용되지 않아 확인이 필요합니다.


해당 경로에서 'cf push' 하면 배포가 시작된다.


배포 완료 후 tadpole.war로 배포하여 https://tadpole-hs.devpack.co.kr/tadpole 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초기 설정 과정이 필요하다.


첫 화면은 사용약관에 대한 내용으로 'Tadpole DB Hub(이하 올챙이)는 저작권자와 협의 없이 판매 및 영엉 행위를 하실 수 없습니다." 라고 문구가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사항입니다. 잘 인지하셔서 상업적으로 사용시에는 적절한 계약 후 사용하길 바랍니다.


사용약관을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사용 형태'가 나옵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항으로는 '개인 사용자'로 설정시에는 해당 화면에 별도 인증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 입니다. 공개된 주소로 사용할 경우에는 혼자 사용하더라도 그룹을 선택하여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십시오.


'그룹'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오면 '시스템 설정 마법사'가 등장합니다. 해당 정보를 입력하여 진행하면 올챙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신규 DB 등록 과정이 필요하므로 왼쪽 상단의 '파일-신규 데이터베이스 등록' 을 선택하여 devpack DB을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래서 잠시 devpack에 접속하여 App Service 목록에서 설정할 DB 정보를 확인합니다.


올챙이와 함께 사용할 DB을 선택하여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정보를 '호스트 <- hostname', '데이터베이스 <- name', '사용자 <- username', '패스워드 <- password' 을 알맞게 입력하여 등록을 마칩니다. 물론 핑테스트 및 접속 정보 테스트를 확인하셔서 정상적으로 접속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우와~ERD!!



사실 위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DB로 저장하는 부분을 해결해야 합니다. sqlite 로 관리되기 때문에 재배포시에 기존 정보가 사라집니다. 


추가 정보 : 엔터프라이즈 문의

=> 조현종 대표님 / 010-4227-3601 / hangum@tadpolehub.com







반응형